<올드보이> 이후 박찬욱 감독은 지난 수년간 할리우드의 러브콜을 받았왔어요. 그는 우아하고 세련된 영상, 치밀한 구성, 그리고 충격적인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몇 안 되는 감독으로 꼽히고 있죠. 때를 기다리던 박 감독이 선택한 영화는 <스토커>. 헐리우드 최고의 거장과 함께 제작한 <스토커>의 화면 밖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박 감독을 매료시킨 소녀의 성장통 <스토커>
박찬욱 감독의 할리우드 데뷔작 <스토커>는 2월 28일 국내 개봉 전부터 숱한 화제를 뿌렸어요. 거장 리들리 스콧 감독이 제작을 맡고, <프리즌 브레이크>의 웬트워스 밀러가 시나리오를 썼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는데요. 특히 미아 와시코브스카·매튜 구드·니콜 키드먼 등 할리우드 명배우들의 참여로 이목을 끌었어요.
<스토커>는 낯익은 스토리텔링을 유려한 미장센으로 승화시킨 빼어난 수작이라고 평가받고 있어요. <스토커>에는 박 감독이 천착해 왔던 ‘복수’의 텍스트, (전작에 비해 수위와 강도는 다소 얌전해졌지만) 잔혹한 비주얼, 선과 악의 모순을 담은 철학 등이 유유히 흘러요. 굳이 달라진 점을 꼽으라면 박 감독의 전작에 비해 더 우아하고 세련된 영상을 꼽을 수 있죠.
날 선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 박 감독의 ‘복수 3부작’이 거칠고 투박했다면, <스토커>는 절제된 화면 안에서 밀도 있게 이야기를 풀어가며 소녀를 관조해요. 마치 정교하게 세공한 보석을 감상하는 느낌이지요. 박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10대 후반 소녀의 요동치는 심리와 불균질한 행동을 저릿하게 묘사해요. 하지만 그는 성급하게 결정하지 않죠. 때를 기다리면서 기회를 잡아요. 결국 그를 매료시킨 이야기는 ‘소녀의 성장통’이에요.
박 감독이 <스토커>의 시나리오에 끌린 점은 바로 ‘여성(소녀)의 이야기’가 매혹적으로 펼쳐졌기 때문이에요. 박 감독에게 여성은 미지의 존재이자 탐구의 세계인 셈인데요. 박 감독이 <스토커> 연출을 결심한 또 하나의 이유는 자신의 외동딸과 연관이 있다고 해요. 박 감독의 외동딸은 극 중 인디아와 동갑이에요. 극 중에서 찰리(매튜 구드)가 사온 와인은 ‘1994년 산’인데, 이 대목은 딸과 인디아의 나이가 같다는 점을 상징합니다.
“젊은 시절에는 남성적 세계를 지향했습니다. 마초라기보다 남성의 특징에 더 끌렸습니다. 그런데 점점 여성적인 면이 생기고 또 결혼생활이 길어질수록 자연스럽게 여성에 관심이 가더라고요. 여성성은 때로는 잔인하기도 하고 때로는 어리석기도 하죠. 어쨌든 여성성에 매혹된 것은 사실이에요.”
<친절한 금자씨> 이후 여성의 세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그의 작품세계에서 <스토커>는 그 정점에 선 영화라고 할 수 있어요. 10대 소녀는 성장통을 겪는데, 그 과정은 불안하고 혼란스럽죠. 반항심이 생기고 나쁜 행동에 매혹되고요. 거기서 희열을 느끼지요. <스토커>는 ‘소녀의 성장통’이라는 텍스트를 박 감독 식으로 해석한 이야기인 셈입니다.
“할리우드 시스템은 개인 역량 끌어내는 신세계”
할리우드에 박 감독은 신선한 피에요. 한 해 수백 편의 영화를 기획 제작하는 할리우드는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원합니다. 늘 새로운 수혈을 필요로 한다는 말이지요. 박 감독은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작가주의로 할리우드를 매혹시키고 있어요. SF 고전인 <블레이드 러너> <프로메테우스> 등 세기의 걸작을 만든 리들리 스콧 감독이 러브콜을 보낸 것도 그 때문입니다.
또 <올드보이>는 스파이크 리 감독이 리메이크로 다듬는 중이에요. 박 감독이 제작을 맡고 봉준호 감독이 연출하는 <설국열차>역시 할리우드 배급망을 타고 전 세계에서 개봉될 전망이고요.
“ 할리우드에서의 작업을 통해 감독의 논리가 정교해지고, 내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 분명히 알 수 있게 됐어요. 왜 그런 것 있잖아요? ‘나는 이것을 원해’라고 한 번 말하면 거기에 집착하게 되는 것 말입니다. 그런데 논쟁을 벌이다 보면 ‘내가 원하는 것이 그게 아니었네’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거든요. 자기의 논리가 빈약해지면 양보하고, 타협하는 과정에서 내가 이길 때도 있고 다른 사람이 이길 때도 있고 또는 제3의 누군가가 맞을 때도 있어요. 그 과정이 처음에는 힘들었지만 차츰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논쟁하거나 설명하는 과정을 피하지않게 되더라고요.”
<스토커>의 미학적 완성도는 대단히 높은 수준인데요. 여기에 박 감독은 할리우드라는 거대한 시스템 안에서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뽑아내는 신세계를 경험했어요.
“사실 감독으로서는 유럽이나 아시아 현장이 훨씬 편해요. 미국의 현장은 스튜디오와 많은 대화를 하는데, 꼭 그게 나쁜 것만은 아니에요. 감독이 누군가와 성의를 다해 대화하고, 설득하고, 논쟁하는 과정이 고달프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더 좋은 결과를 만들 때가 많더라고요.”
그리고 지금, 박 감독은 치밀하게 설계한 영화작업을 겪으며 ‘협의와 이해’라는 가치를 통해 자신의 필모그래피에서 또 다른 장을 써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