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산업단지의 리모델링 프로젝트, '스마트 혁신 산업단지'
이처럼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산업단지들이 새롭게 등장할 예정인데요. 바로 노후산업단지의 리모델링 프로젝트랍니다. 올해로 출범 반세기를 맞은 산업단지는 이제 미래형 산업의 메카인 '스마트 혁신 산업단지'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기념식이 열린 날 스마트 혁신 산업단지 추진을 위한 핵심과제를 발표했는데요. ▶스마트·친환경기반 구축 ▶입주기업 연구·혁신 역량 강화 ▶노후단지 리모델링 ▶편리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 등이 주요 골자입니다.
2016년까지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계획, 클라우드 기반의 IT서비스 도입도 함께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1964년 9월 만들어졌습니다. '수출산업공단지조성법'이 제정되어 구로공단(현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착공 시점을 출범 원년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후 50년간 국내 산업이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 기술집약산업, 첨단과학 및 정보기술(IT)산업으로 변화하는 동안 산업단지는 발전의 거점 역할을 해왔습니다.
현재 산업단지는 1,033개에 이를 만큼 많아졌는데요. 하지만 3분의 1 가량은 현대의 산업환경을 따라가지 못한 채 활력을 잃었다는 지적이 잇따랐고, 정부는 산업단지 혁신정책을 모색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혁신단지로 리모델링할 노후산업단지 17개를 2016년까지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3월 혁신단지 4개를 선정한 데 이어 하반기 3개를 추가 선정하는 등 리모델링사업 일정을 1년 앞당긴 것인데요. 2017년까지 산업단지형 행복주택 1만가구를 공급하는 등 편리한 정주 여건을 갖추고, 리모델링을 마친 노후산업단지 곳곳에는 IT와 친환경 경영체계를 적용해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예정입니다.
또 2017년까지는 24개 산업단지에 클라우드 기반 IT서비스를 도입하고 2020년까지는 혁신산단 중심으로 3D 프린팅 기술 및 산업용 인터넷 등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1만개를 확충하는 등 스마트 업무기반을 지원합니다. 정부는 이 사업에 민관 합동투자 방식으로 2조 3천억여원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인터넷 파일 저장체계인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중소기업들이 업무에 필요한 전산체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정보기술 서비스'도 2017년까지 24개 산업단지에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 방안은 내년에 2개 산업단지에 시범 적용됩니다.
에너지 효율과 환경을 위한 친환경 산업단지 육성도 주요 과제
친환경 산업단지 육성도 주요 정책방향으로 꼽힙니다. 산업부는 센서와 유무선 통신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제어하는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을 2017년까지 10개 산업단지에 적용합니다. 공장에서 나온 폐열과 부산물 등을 재활용하는 생태산업단지는 올해 46개에서 2019년까지 150개로 확대합니다. 노후산업단지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개선하고 기업들의 생산비용 절감에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산업부는 이날 기념식에서 산업단지 선진화에 이바지한 유공자도 포상했습니다. 박환우 성호전자 대표이사가 산·학·연 연계망 구축으로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첨단화에 기여한 공로로 동탑산업훈장을 받는 등 총 11건의 정부포상이 있었답니다.
박 대통령은 산업단지가 창조경제의 거점이 되기 위한 정부의 3대 과제를 피력했습니다. 첫번째로는 "단순히 저렴한 부지를 공급하던 것에서 벗어나 ‘기업 수요 맞춤형 산업단지’로 바꿔 시장과 고급 연구인력, 문화콘텐츠가 집적된 도심과 가까운 지역 위주로 개발해서 첨단 융복합산업의 중심으로 만들 것", 두 번째로는 '근로자 친화형 산업단지'입니다. 박 대통령은 "산업단지를 주거·문화·복지·환경 등 생활 인프라를 겸비한 복합단지로 리모델링해서 젊은 인재들이 신바람나게 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것”이라며 “끝으로 ‘기술혁신 주도형 산업단지’를 만들어 테크노파크, 디자인센터, 공공연구소 등 기술혁신 지원기관을 산단 내에 집적화해 기업들의 기술 애로를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