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요금 할인율이 높아져 통신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이동통신사 3사(SKT∙KT∙LGU+) 가입비가 폐지되면서 신규·번호이동 가입자들의 부담은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와 할인제도를 알아봅니다.
국내에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9년부터 가계 통신비는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부담스러운 통신비는 가계 경제를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기까지 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통신요금 부담 경감정책은 통신시장의 요금 및 서비스 경쟁을 촉진하고 요금체계를 합리적으로 운영해 국민에게 알맞은 통신 소비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30년 만에 가입비 폐지로 1633억 원 요금 절감
가계 통신비 절감정책의 일환으로 우선 이동통신사(이하 이통사) 3사의 가입비가 모두 폐지됐습니다. SKT는 1984년 개국 당시 가입비 대신 설비비 명목으로 88만 원을 받았으나 가입비 폐지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1996년 7만7000원, 2013년 2만3800원, 2014년 8월에는 1만1900원까지 낮아졌습니다. 결국 2014년 11월에는 가입비를 완전 폐지했습니다. 30년 만에 가입비 제도가 사라진 것입니다. KT와 LGU+는 1997년 5만 원이던 가입비를 2015년 3월 모두 없앴습니다.
가입비의 단계적 폐지로 얻은 요금경감 효과는 2013년부터 지금까지 신규·번호이동 가입자 수를 감안할 때 총 5000억 원에 이릅니다. 또 실제적인 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힘을 쏟은 정책 중 하나가 알뜰폰 활성화 정책입니다.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전환한 이용자는 월평균 2만683원(연간 24만 원)이 절약돼 기존 이통사 대비 57%까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앞으로도 알뜰폰은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통 3사 통신망을 이용하는 도매단가가 인하됐고, 전파 사용료 감면이 내년 9월까지 연장되면서 알뜰폰 사업자의 사업 환경 개선과 요금 인하에 더욱 힘이 실렸습니다.
알뜰폰 사업자가 잇따라 3G, LTE 정액상품을 출시하는 등 요금제에서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알뜰폰 저변 확대에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 데이터 요금·20% 요금 할인율 등장, 소비자에게 맞는 요금 선택 가능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가입자들의 실제 이용량 및 납부 요금을 살펴보면, 기존 대비 음성·데이터 사용량이 각각 18%, 23% 증가했음에도 월 통신비는 5.6%(약 2600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지난 4월 미래창조과학부는 단말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제도를 활성화하고, 할인 혜택을 높이기 위해 요금할인율을 기존 12%에서 20%로 높였습니다. 20% 요금할인 가입자는 할인율 상향 이후 일평균 가입자가 17배 이상 급증하면서 11월 17일 기준 348만 명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
이 밖에도 정부는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통신요금 인가제는 시장지배적 사업자(이동전화 SKT, 유선전화 KT)가 신규 요금제를 출시할 때 정부의 인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로, 후발 사업자와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1991년 도입됐습니다. 이후 정부는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요금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해왔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의 통신정책 방향 및 경쟁 상황, 인가제의 운영상 한계, 글로벌 추세 등을 감안해 통신요금 인가제를 폐지하기로 결정하고, 지난 10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휴대폰 사용 형태도 통화, 메시지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며 자신에게 맞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요금 부담은 낮춰질 것입니다. 또한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 법안이 통과되면 규제 예측 가능성이 높아져 사업자 간 요금·서비스 경쟁이 좀 더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대한민국 이슈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