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올림픽은 끝났지만, 강원에 1000km 새 길·최첨단 경기장·풍성한 관광상품 등 값진 유·무형 유산을 남겼습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경기장 시설과 운영 경험을 사후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평창올림픽이 남긴 값진 유산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사진=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 관람객들과 자원봉사자들│ⓒ정책브리핑,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평창올림픽을 전후로 많은 변화를 겪은 강원도
교통 기반 시설이 가장 눈에 띄는 유형 유산입니다. 올림픽 유치 이후 강원도에는 1000㎞가 넘는 새로운 길이 뚫리거나 확장 및 포장됐습니다. 결과적으로 강원도는 수도권과의 높은 접근성으로 명실공히 수도권 시대로 진입하게 됐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무엇보다 2017년 12월 개통된 서울-강 릉 KTX는 강원도를 당일에 오갈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습니다.
이동 소요시간의 불확실성을 줄여 방문객 유입을 늘리는 효과도 거뒀습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대회 결산 기자회견에서 “KTX는 이번 올림픽의 가장 훌륭한 유산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경기장을 비롯한 대회 시설 또한 평창올림픽이 남긴 주요 유형 유산입니다. 대표적으로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최첨단 제빙시설로 최상의 빙질을 유지했고 강릉 아이스아레나는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 경기를 병행할 수 있는 제빙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강원도는 애초 일부 시설의 매각이나 해체 등의 계획을 세웠으나 수정 및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북한이 평창올림픽에 참가하면서 남북 스포츠 교류 확대와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 개최 추진 등을 위해서는 시설 유지 가치가 높아 졌다는 판단에서입니다. 개·폐회식장으로 쓰였던 올림픽 플라자는 관람석 3만 5000개와 가설 건축물을 모두 철거한 뒤 올림픽 역사기념관으로 탈바꿈할 계획입니다.
평창올림픽 연계 관광상품 발굴도
평창군은 모든 올림픽 과정을 기록유산으로 만들어 영구 보존하기로 했습니다. 세 차례 도전 끝에 성공한 유치 신청 단계부터 개최까지 전 과정을 백서로 제작합니다. 유치 이후 대회 준비 과정과 대회 모습은 영상기록물, 도서기록물로 구분해 정리하는 올림픽 기록유산 사업도 추진합니다.
한국관광공사는 지속 가능한 올림픽 관광 유산을 창출하기 위한 사후관리 4대 핵심과제 ‘P(Place)·O(Olympic)·S(Season)·T(Transport) 올림픽’을 발표했습니다. 경기장을 활용한 동계관광상품을 개발하고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을 대비해 동계스포츠대회 유치와 전지훈련 장소 활용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올림픽 브랜드를 활용한 대형 마이스(MICE) 행사도 유치합니다. 2018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 연차총회를 5월 강릉에서 개최하고, 2021년 국제시민스포츠연맹 올림피아드 총회의 평창 유치를 추진합니다.
강원관광 4계절 콘텐츠 제작
강원 지역의 계절을 소재로 활용한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봄·가을 여행주간을 활용해 올림픽 개최지로의 국내 여행 참여를 유도합니다. 이와 함께 말레이시아 MATTA, 일본 투어리즘 엑스포 등 아시아 지역 5개국 10개 대형 관광박람회에 참가해 포스트 올림픽 홍보를 이어갑니다.
이밖에도 양양공항·KTX를 활용한 강원관광상품을 개발하고 평창코레일패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안내·교통체계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입니다.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값진 유·무형 유산보다 더욱 주목할 점은 선수와 관중 모두 성적지상주의에서 벗어나 대회 자체에 의미를 둔 성숙한 모습을 보여준 것입니다. 선수들은 메달 색깔에 얽매이지 않았고 오히려 올림픽을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는 무대로 삼았습니다.
관중들의 태도도 분명히 변화했습니다. 과거 성적에 치중하던 모습과 달리 선수들이 올림픽을 위해 흘렸을 땀과 눈물에 찬사를 보냈습니다.
(사진=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폐회식│ⓒ정책브리핑,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남긴 값진 기록, 교통 기반 시설, 경기장, 관광상품 그리고 멋진 스포츠 정신과 응원은 앞으로 스포츠 강국으로 거듭나는데 좋은 밑거름이 될 거라 여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