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감칼럼

스포츠 심리를 기반으로 선수의 멘탈코치가 되다! 조수경소장 인터뷰

스포츠 선수는 외로운 직업입니다. 승부의 세계에서 뒤돌아서지 않고 똑바로 바라보며 승부해야 하는 직업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젊은 선수들일수록 이런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자꾸만 흔들리고 좌절하는 스포츠 선수들에게는 자신을 믿고 도전할 수 있는 신념이 필요합니다. 

이런 신념을 전달해주며 스포츠선수들의 멘토가 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든든한 조력자이며 멘탈 코치인 조수경 소장이에요. 프로 골프선수 박인비 뿐만 아니라 박태환·손연재·양학선 등 수많은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멘토링 하며 승부의 세계에서 포기하지 않고 이겨내도록 도와주고 있지요.


조수경 스포츠심리 연구소장



‘침묵의 암살자’. 올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를 호령하고 있는 박인비(26) 선수의 별명이에요. 극도의 긴장감 속에도 표정 변화 없이 샷을 한다고 해서 붙은 별명인데요. 경기 내내 특유의 평정심을 유지하는 박인비를 보고 미국프로골프(PGA) 최고의 퍼팅 고수로 꼽히는 브래드 팩슨은 “1라운드 1번홀이든 마지막 라운드 18 번홀이든 ‘중요도 하(下)’ 정도의 자세로 퍼팅에 임하는 것 같다” 고 말했어요.



박인비의 강한 정신력 뒤에는 든든한 조력자가 있는데요. 바로 조수경 소장(45·조수경스포츠심리연구소)이에요. 박인비는 5년 째 1주일에 한 번씩 조 소장과 통화하며 심리 상담을 받고 있어요. 경기가 시작되면 매 라운드별로 조 소장과 의논해 단기 목표를 설정해요. 이기고 있을 때와 추격할 때는 마음가짐도 달라야 하기 때문 이에요.



조 소장은 박인비뿐만 아니라 리듬체조 선수 손연재와 골프선수 유소연·홍순상의 심리 상담도 맡고 있어요. 수영선수 박태환과 체조선수 양학선 등도 중요한 경기를 앞두곤 꼭 그녀에게 조언을 듣지요. 승부의 세계에서 흔들리지 않고 자신감을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다짐도 중요하지만, 자신을 잘 알고 의지를 북돋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에요.


  선수와 멘토와의 신뢰가 쌓여야 승부의 자신감을 더 키울 수 있다! 


이화여대에서 체육학을 전공한 조 소장은 3학년 때 스포츠심리학 수업을 듣고 진로를 결정했어요. 이후 미국 보스턴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이화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어요. 선수들과 편하게 상담하기 위해서는 선수들의 종목을 완벽하게 소화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래야 선수와 멘토 사이에 신뢰가 쌓이기 때문이에요. 조소장은 단순히 심리적인 지지 뿐만 아니라 선수를 바라볼 때 심판이나 코치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노력을 하면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선수의 능력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노력해요.


선수와의 친밀감도 중요하지만 조 소장이 절대 놓치지 않는 것은 학문적 진중함이에요. 상담심리학의 기본 전제 중 하나는 ‘같은 인간은 하나도 없다’는 것인데요. 종목이 다르듯 선수들이 가진 성향과 취미도 모두 다르죠. 각종 심리검사 도구를 이용하고, 각 선수들에게 맞는 시기별 맞춤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해요.이 과정에서 철저하게 학문적 이론을 따르지 않으면 상담사의 사견으로 흐르기 쉬워요.


조 소장은 화려한 언변으로 선수들의 마음을 잡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으로 선수의 심리를 잘 파악하고 장단점을 살펴보며 각각의 선수에 맞는 맞춤 상담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조 소장 역시 어린 시절부터 여러 종목의 스포츠를 접한 스포츠 마니아예요. 딸 셋을 아들처럼 키우려 했던 부친의 열정 덕분이에요. 수영·양궁·사격·승마까지. 머리 맡에 도구를 챙겨놓고 새벽 5시 반까지 대문 앞에 집합시킬 정도로 열정이 대단한 부친 덕에 자연스럽게 전공이 스포츠학과가 될 수 밖에 없었죠. 이런 독특한 성장환경은 그가 다양한 종목의 선수들과 무리 없이 상담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됐어요.


  스포츠 꿈나무의 성공, 스스로 동기가 없으면 성공하기 힘들다


조 소장은 미래의 박인비·박태환을 꿈꾸는 어린 운동선수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어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스포츠 스타 뒤에는 부모님들의 폭발적인 에너지가 있는데, 자식에 대한 사랑과 열정이 엄청나죠. 하지만 어린 선수들 중에는 이것을 간섭이나 집착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아요. 본인은 정신적으로 독립했다고 말하는데 사실은 부모님과 감독 눈치보기 바쁘죠.


조소장은 어린 선수와 상담을 할 때 정신적 독립이 무엇인지 나이에 맞게 설명해줍니다. ‘내가 이끌어가자’ ‘내가 먼저 변하자’ ‘그러려면 무엇을 바꿔야 할까?’ 이런 질문들을 선수들에게 계속 던지죠. 조소장은 선수 스스로 ‘자신이 왜 운동을 하고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 일은 내가 하는 일’이라는 확신이 있어야 운동도 잘한다는 것이 조소장의 말이에요. ‘행복’하지 않으면 동기도 생길 수가 없지요. 최고의 선수들은 자신을 이겨냈을 뿐만 아니라 좋아하는 것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만한 승부를 벌일 수 있다는 것을 어린 선수들도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