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까지는 소기업 기준은 근로자 몇 명 이하 등으로 정했는데요.‘중소기업기본법’상의 소기업 범위를 구분하는 기준이 종전의 근로자 수에서 매출액 기준으로 변경될 전망이에요.
현재 정부는 기업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중견기업 ▶중기업 ▶소기업 ▶소상공인 등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대상자별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요.이 가운데 중기업의 범위기준은 현행 상시 근로자 수와 자본금(또는 매출액)에서 상대적으로 인위적인 왜곡 가능성이 적은 3년 평균 매출액 단일기준으로 개편했으며 내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근로자 1천명, 자본금 1천억원 기준을 없애고 업종별로 5개 구간(1,500억원-1천억원-800억원-600억원-400억원) 매출액을 적용하는 거예요.
▒ 소기업 범위를 상시근로자 수에서 업종별 매출액을 적용
하지만 소기업 범위는 업종별로 상시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50명 미만(제조업·건설업·운수업·출판·영상·정보통신서비스업 등), 10명 미만(기타 서비스업종)으로 각각 달리 적용하고 있어요. 이처럼 소기업 범위를 여전히 상시근로자 수 기준으로 함으로써 중기업에서 나타나던 고용기피 현상이 소기업에서도 재현되고 있어요.
실제로 ㈜○○건설은 매출액이 전년보다 86.9%(195억6천만원→365억7천만원) 증가했으나 직원 수는 51명에서 소기업 상한 기준인 49명으로 되레 감소했어요. 기술·서비스업체인 ㈜○○산업은 매출액이 29%(2,200억원→2,838억원) 증가했지만 직원 수는 54명에서 49명으로 오히려 줄어들었고요.
중소기업청은 소기업 범위 개편을 앞두고 이같은 문제 해결 위해 관련 전문가·업계 등의 의견 수렴을 위해 11월 21일 서울 상암동 DMC센터 중소기업연구원에서 공청회를 개최한 데 이어 중소기업연구원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에요.
소기업 범위기준을 중기업과 동일한 지표인 3년 평균 매출액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청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소기업들의 의견이 고루 수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중소기업기본법 개정 후 1월부터 시행 예정
올해 안에 정부안을 확정해 내년 상반기에 ‘중소기업기본법’을 개정하고, 2016년 1월부터 시행하기로 했어요. 다만 개편안에 따라 소기업에서 벗어나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3년간 소기업 지위를 유지해 줄 방침입니다.
기업하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소기업 지원제도를 통해 창업을 꿈꾸는 젊은이들과 새롭게 재기하는 사업가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중소기업의 범위를 상시근로자 수로 정하다 보니 중소기업으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지키기 위해 성장을 꺼리는 기업들도 생겼어요.
종의 피터팬 신드롬을 앓고 있는 기업인들이 발전해나갈 수 있으면서도, 실제 작은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업종 별로 어느 정도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실질적인 가이드라인 필요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이슈 기사 더보기
성폭력특별법 시행 20년, 여성에게 울타리가 되어주고 있나?
청년고용 활성화와 여성취업 지원을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