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한 기술자와 중소기업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제도! '테크노닥터' 들어보셨나요? 퇴직한 기술자는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하고 중소기업은 기술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겠죠?
퇴직자의 재취업. 어려워 보이지만 불가능하지도 않습니다. 21년 동안 한국식품 연구원에서 근무한 차성관(67) 책임연구원은 2009년 은퇴했습니다. 스위스 연방공과 대학에서 식품미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꾸준히 미생물을 연구했던터라 헛헛했습니다. 인생의 과업을 여기에서 끝낼수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식품연구원에 있을 때 유산균에 대한 연구를 했어요. 발효식품에서 미생물을 분리해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었죠.다행히 은퇴 후에는 유산균을 더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주)프로바이오닉에 취직했습니다. 제가 식품연구원에 있을때 쌀로 만든 요구르트에 대한 특허를 냈는데, 그걸 프로바이오닉에서 사갔더라고요. 덕분에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할수 있었어요. 아주 보람됐습니다.”
퇴직 과학기술자 활용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확충사업 '테크노닥터'
차성관 씨가 재취업할 수 있었던 것은 퇴직 과학기술자 활용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확충사업 덕분입니다. ‘테크노닥터’라는 줄임말로 불리는 이 제도는 (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사업으로,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일자리가 없는 퇴직 과학기술자를 연결해줍니다.
한 중소기업당 퇴직 과학기술자 1명을 선정해 짧게는 1년, 길게는 2년 10개월 동안 임금을 지원합니다. 즉 테크노닥터로 선정되면 첫해에 정부에서 1800만 원(월 180만 원,3~12월), 기업에서 700만 원(월 70만 원,3~12월) 이상을 받아 최소 월250만 원을 벌 수 있습니다.
연차별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 이듬해와 그다음 해에도 매년 정부 지원금 2160만 원(월 180만 원, 12개월)과 기업 지원금 840만 원 (월 70만 원,12개월) 이상을 받습니다.
이 제도는 차 씨처럼 공공 연구기관의 선임급 이상 연구원으로 퇴직한 사람뿐 아니라 대기업 부설연구소 책임급(차장),대학 부교수 이상 퇴직자에게도 열려 있습니다.
'테크노닥터' 신청하려면
하지만 다음과 같은 기본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합니다. 즉 연구·기술 분야 경력이 10년 이상인 사람으로, 만 50세 이상(2013년 신설)이어야 하고 사업 공고일 3개월 전부터 중소기업에 채용돼 주 3일(하루 8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퇴직 과학기술자를 지원하는 것이므로 이 조건은 반드시 갖춰야 합니다.
퇴직 과학기술자를 채용한 중소기업은 4대 보험에 가입한 후 테크노닥터 홈페이지에 온라인으로 참가신청서를 접수시킨 다음 신청서를 출력해 2월 13일까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이공계인력중개센터(서울서초구 바우뫼로 37길 37 산기협회관 1층, 02-3460-9122, 9088)를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하면 선정 절차를 거쳐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테크노닥터는 2006년 신설된 사업으로 2015년 현재까지 중소기업 910개를 지원해 퇴직 과학기술자 910명의 고용을 창출했습니다. 중소기업의 수도권, 지방 소재 비율은 각각 37.6%, 62.4%이며 최근 5년간 경쟁률은 3.9:1로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 2차 평가를 통해 선발 여부를 가립니다. 1차로는 신청 기업과 신청 인력의 적격성을 검토하고, 2차에서는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열어 서면 평가를 거칩니다. 이때 중소기업은 연구개발(R&D) 투자율, 기업 안정성, 기업 부담금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테크노닥터는 특허, 학회지 게재 논문 등으로 살핍니다.
올해는 새로 지원을 시작하는 중소기업과 계속 지원받는 2, 3차년 중소기업을 포함해 70개 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중소기업이 지방에 있거나 신기술 인증 혹은 이노비즈 인증을 가진 경우, 퇴직 후 5년 이내 퇴직 과학기술자와 여성 퇴직 과학기술자를 채용한 경우에는 가산점을 줍니다.
지원 자격이 다양 은퇴하기 전 '테크노닥터' 활용
지원 자격이 비교적 다양하다 보니 은퇴하기 전 이 제도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동부팜한농에서 시험책임자로 근무한 조인선(50) 씨는 재작년 사표를 던졌습니다. 팀원들이 퇴사했는데도 결원이 채워지기는커녕 업무가 과중해져서입니다. 하지만 막막함은 기대감으로 바뀌었습니다.
구직 활동을 할때 적극적으로 이 제도를 활용한 결과 한국생물안정성연구소로 자리를 옮길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테크노닥터 제도가 재취업의 문턱을 낮춰준 셈입니다.
“제 역량을 좀 더 발휘하고 싶어 이직을 결심했어요. 회사 측에 테크노닥터 제도를 활용해 부담 없이 일단 저를 고용해보라고 설득해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그러고는 현재 일하는 연구소의 시험실에 대해 국제인증우수실험실운영기준(GLP :Good Laboratory Practice)을 받는 데 일조했어요. 그덕에 새로운 물질을 사용하거나 수입하려는 업체에서 많은시험을 의뢰해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내에서는 이인증을 받은 시험실에 한해서 새로운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거든요. 전 회사에 근무했을 때도 1년여간 준비해 인증을 받은 적이 있어서 이 일을 하는 것이 어렵지만은 않았습니다.”
조인선 씨는 2년 10개월 동안 지원을받고, 이후 계약을 연장해 정규직 직원으로 채용된 상태입니다. 이렇듯 정부 지원을 받으며 테크노닥터로 근무하다 정부 지원이 끊긴 이후에도 해당 회사에 재고용되는 경우는 50% 정도입니다. 재고용률은 2011년에 44.8%, 2012년 50%, 2013년 64.7%에 달했습니다.
테크노닥터의 재고용률 높여야
재고용률은 정부 지원이 끊긴 이듬해만 측정하고 있습니다. 쌀 요구르트를 만들던 차성관 씨는 “테크노닥터의 재고용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저도 퇴직 후 중소기업에서 각각 1년씩 테크노닥터로 활동했어요. 이후 (주)프로바이오닉에서 2년 10개월 동안 테크노닥터로 일했죠. 하지만 그 이후에도 재고용되는 건 쉽지 않아요. 해가 갈수록 은퇴자는 늘어나기 때문에 일하려는 사람은 그만큼 많아지거든요. 퇴직 과학기술자들의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확대돼야 합니다.”
퇴직 기술자와 중소기업이 윈윈 할 수 있는 제도이다보니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재고용률을 높일 수있게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해요. 이렇듯 더불어 함께 가는 사회의 분위기가 계속해서 만들어지면 좋겠습니다.
공감정책특집 더 보기
2015 정부부처 업무보고 토론회
2015 경제 맥박, 힘차게 뛴다
여성 창업 희망 열어주는 정부 지원과 혜택
전통시장이 부활한다!
힘내라 소상공인! 소상공인 창업 지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