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공감여성 정책

포만감 호르몬 '렙틴' 살빼기 부탁해!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게 되어 단기간에 체중이 늘어나는 일은 의외로 종종 있습니다. 연말의 모임이나, 회식, 명절 등의 기간이면 일주일남짓에 3~4kg씩 살이 붙기도 합니다. "또 쪘다, 쪘어.", "나도 마찬가지야, 닷새 만에 3kg 불었네." 추석이나 설 명절 연휴 뒤끝이면 늘어난 몸무게 때문에 한탄이나 원망 섞인 푸념을 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됩니다. 명절 뒤 체중이 불어나는 현상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습니다. 무엇보다 식욕을 부추기는 이런저런 음식이 눈앞에 있으니 과식을 피하기 어려운 탓입니다. 또한 살이 찌는 이유에 포만감 호르몬 '렙틴'이 있습니다.


살빼기


그러나 많이 먹는 것만 탓해서는 '찌는 살'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살을 뺄 수 있는 운동이나 몸놀림이 적었다는 점 또한 '살찌는 데' 크게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요컨대 체중 증가를 막으려면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것은 물론 열량을 적절히 소모할 수 있는 운동 등을 병행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음식 섭취와 운동이 체중 조절의 핵심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한데 서로 정반대인 것처럼 보이는 열량 섭취와 열량 소모가 사실은 한 묶음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다시 말해 열량 소모와 열량 섭취는 하나의 메커니즘, 즉 일련의 과정에 의해 이뤄질 수도 있는데 이를 별개의 생리작용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입니다.


체중 증가는 일종의 '빈익빈, 부익부' 원리에 의해 이뤄지는 예가 많습니다. 살찐 사람은 더 찌기가 쉽고, 반대로 마른 사람은 찌기보다는 마르기가 쉽습니다. 살이 붙는 원리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빠질 수 없는 물질이 있습니다. 바로 '렙틴(Leptin)'이라는 호르몬입니다. 물론 살이 찌고 빠지는 것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나 효소 등은 셀 수 없이 많습니다. 하지만 렙틴은 이들 가운데 가장 중심적인 물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살빼기


렙틴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됩니다. '포만감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렙틴은 배가 차면 분비량이 늘어납니다. 늘어난 렙틴은 '이제 그만 먹어도 된다'는 신호를 보내는데, 렙틴의 역할은 여기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활동할 필요가 없다', 즉 몸을 더 이상 바쁘게 놀릴 필요가 없다는 신호도 동시에 보냅니다. 몸을 놀리지 않으면 열량 소모가 제대로 될 턱이 없으니 속된 말로 먹은 게 고스란히 살로 갑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렙틴이 줄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렙틴 수치가 떨어지면 인간은 바빠집니다. 대표적으로 걷거나 달리는 등의 행동을 지속하게 돼 있습니다. 인류의 조상은 끊임없이 달리거나 헤매야 먹이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배가 고프면 렙틴의 수치가 떨어지고, 먹을 것을 구할 때까지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걷거나 달려야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진화한 것입니다.


좀 과장되게 단순화하면 열량 소모를 늘려 체중을 줄이게 되면 그만큼 렙틴 분비가 줄어들고, '먹을 것을 찾아나서는' 본능이 발동해 열량 소모가 더 늘어나게 됨으로써 살찔 확률이 이중으로 낮아지는 셈입니다. 추석이나 설 명절에 방과 주방을 왔다 갔다 하는 대신 집 밖에서 신체 활동량을 대폭 늘리는 게 체중 조절에 두세 배 더 효율적인 이유입니다. 집 안에서 무언가를 쉬지 않고 먹는 대신 그 시간에 운동을 해주면 렙틴이 열량 섭취는 줄여주고 열량 소모는 늘려주는 결과를 불러온다는 얘기입니다.


살빼기


포만감 호르몬 '렙틴'을 이해하면, 살이 찌거나 빠지는 원리에 대해서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더 열량 섭취와 열량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살 빼기를 할 때 건강한 체중 조절을 할 수 있길 바랍니다.